간이 정신 상태 검사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간이 정신 상태 검사(MMSE)는 다양한 인지 영역을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검사 도구이다. 시간, 장소 지남력, 기억 등록, 주의력, 언어 능력 등을 평가하며, 총 30점 만점으로 점수가 낮을수록 인지 기능 손상이 심각함을 의미한다. MMSE는 치매 환자의 인지 손상 심각도 분류, 치매 유형 구별, 알츠하이머병 발병 고위험군 식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MMSE는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PAR)에서 저작권을 관리하며, MMSE-2와 같은 개정판도 출시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억 검사 - 글래스고 혼수척도
글래스고 혼수척도는 눈 뜨기, 언어 반응, 운동 반응을 평가하여 의식 수준을 측정하는 신경학적 척도로, 총점 3점에서 15점으로 표시되며 점수가 낮을수록 의식 수준이 낮고, 뇌 손상 환자 평가에 널리 사용되지만 비판도 존재하며, 대한민국에서는 일본 혼수척도와 함께 사용되고 2세 미만 어린이는 소아 글래스고 혼수척도를 사용한다. - 기억 검사 - 스트루프 효과
스트루프 효과는 단어의 의미와 잉크 색상이 일치하지 않을 때 색상 식별에 시간이 더 걸리는 현상이며, 주의력, 인지 기능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인지 검사 - 거울 검사
거울 검사는 동물이나 인간이 거울 속 자신의 모습을 인식하는지 평가하는 실험으로, 대상에게 표식을 남긴 후 거울을 보여주고 반응을 관찰하여 자기 인식 능력을 연구하는 데 사용되지만, 방법론적 한계와 해석의 다양성으로 논쟁의 여지가 있다. - 인지 검사 - 벤더-게슈탈트 검사
벤더-게슈탈트 검사는 시각-운동 기능과 지각 운동 발달을 평가하는 심리 검사로, 로레타 벤더에 의해 개발되었으며 다양한 연령층에서 신경학적 손상, 비언어적 학습 장애, 정서적 문제 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된다. - 노인의학 - 파킨슨병
파킨슨병은 뇌의 흑질에서 도파민을 생성하는 신경세포 손실로 발생하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진전, 서동증, 근육 강직, 자세 불안정과 같은 운동 증상과 신경정신 증상, 인지 장애, 자율신경계 장애와 같은 비운동 증상이 나타나며, 증상 관리를 위한 약물 치료, 심부 뇌 자극술, 재활 치료 등이 시행된다. - 노인의학 - 악액질
악액질은 다양한 만성 질환 말기에 나타나는 다인자성 증후군으로, 전통적인 영양 지원으로 회복 불가능한 골격근 손실, 체중 감소, 근육 위축, 식욕 부진 등을 특징으로 하며, 암세포 증식,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이 발병 기전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다학제적 치료 접근과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간이 정신 상태 검사 | |
---|---|
개요 | |
![]() | |
목적 | 인지 장애 측정 |
다른 이름 | 폴스타인 검사 |
세부 사항 | |
기반 | 지남력 회상 주의 집중 계산 언어 시공간 능력 |
검사 시간 | 5-10분 |
점수 범위 | 0-30점 |
높은 점수 의미 | 인지 기능 양호 |
낮은 점수 의미 | 인지 장애 가능성 높음 |
진단 정확도 | 민감도: 0.85 특이도: 0.90 |
추가 정보 | |
DiseasesDB | 8458 |
ICD-10 | R41.0 |
MeSH | D054826 |
2. 검사 항목
MMSE는 다양한 인지 영역을 평가하는 여러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검사 항목에는 시간과 장소에 대한 지남력, 단어 목록 반복, 7 빼기와 같은 계산, 언어 사용 및 이해, 기본적인 운동 기술 등이 포함된다.[5]
범주 | 가능한 점수 | 설명 |
---|---|---|
시간 지남력 | 5 | 가장 광범위한 것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미래의 인지 저하와 관련이 있다.[18] |
장소 지남력 | 5 | 가장 광범위한 것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
기억 등록 | 3 | 명명된 단어 반복 |
주의력 및 계산 | 5 | 7 빼기, 또는 "world"를 거꾸로 철자하기.[21] |
기억 회상 | 3 | 등록한 단어 기억 |
언어 능력 | 2 | 연필과 시계 이름 말하기 |
반복 | 1 | 구절 따라 말하기 |
복잡한 명령 | 6 | 다양함. 그림 그리기 포함 가능. |
읽기 능력은 "모두 힘을 합쳐 밧줄을 당깁니다." 문장을 읽게 하여 평가하고, 문장 이해 능력은 "눈을 감으세요"라는 문장을 읽고 실행하는지 평가한다. 또한, 피검사자에게 어떤 문장을 써보도록 하여 문장 구성 능력을 평가하며, Bender-Gestalt 검사에서 파생된 문항으로, 두 개의 오각형 그림을 복사하도록 하는 질문을 통해 도형 파악 능력을 평가한다.[5]
2. 1. 시간 지남력 (5점)
시간 지남력은 가장 광범위한 것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측정한다. 시간에 대한 지남력은 미래의 인지 저하와 관련이 있다.[18]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사용하여 시간 지남력을 평가한다.
- 올해는 몇 년입니까?
- 지금은 무슨 계절입니까?
- 오늘은 무슨 요일입니까?
- 오늘은 몇 월 며칠입니까?
2. 2. 장소 지남력 (5점)
MMSE 검사는 여러 영역에서 간단한 질문과 문제를 포함한다. 장소 지남력은 가장 광범위한 것에서 가장 좁은 것으로 평가한다.[20] 한국에서는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한다.질문 |
---|
이곳은 무슨 도(道)입니까? |
이곳은 무슨 시(市)입니까? |
이곳은 무슨 병원입니까? |
이곳은 몇 층입니까? |
이곳은 무슨 지방입니까? |
2. 3. 기억 등록 (3점)
서로 관련 없는 세 가지 단어("나무", "자동차", "모자")를 제시하고 즉시 따라 말하게 하여 단기 기억을 평가한다.[5]2. 4. 주의력 및 계산 (5점)
MMSE 검사에서 주의력 및 계산 능력은 100에서 7을 연속적으로 빼거나, 특정 단어를 거꾸로 말하게 하여 평가한다.[21] 한국어판 MMSE에서는 "100에서 7을 빼세요"라는 지시가 사용되거나, "삼천리"와 같은 단어를 거꾸로 말하게 할 수 있다.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경우, 7을 빼는 것이 더 적절할 수 있다는 의견도 있다.[22]- 100에서부터 순서대로 7을 뺀다. 5번 성공하면 5점이고, 틀린 시점에서 중단한다.
- 또는 "후지노야마"를 거꾸로 말하게 한다.
2. 5. 기억 회상 (3점)
앞서 기억 등록 단계에서 제시했던 세 가지 단어를 다시 기억해 내는지 확인하여 단기 기억을 평가한다. 검사자는 피험자에게 3에서 제시한 물품명을 다시 말하게 한다.[5]2. 6. 언어 (2점)
MMSE에서 언어 능력 평가는 주로 두 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첫 번째는 흔히 볼 수 있는 물건의 이름을 맞히는 것이다. 예를 들어 검사자는 시계와 연필을 차례로 보여주면서, 피검사자에게 각 물건의 이름을 말하도록 한다.[5] 두 번째는 검사자가 말하는 특정 구절을 피검사자가 그대로 따라 말하게 하는 것이다.[5] 이 두 가지 검사를 통해 피검사자의 언어 이해 및 표현 능력을 평가한다.2. 7. 명령 수행 (3점)
MMSE영어 검사에서 언어 이해 능력 및 실행 능력을 평가하는 부분이다. 검사자는 다음 3가지 명령을 구두로 전달하고, 피검사자는 모두 들은 후에 실행한다.[5] 각 단계별로 1점씩 채점한다.- "오른손으로 이 종이를 들어 주세요."
- "그것을 반으로 접어 주세요."
- "책상 위에 놓아 주세요."
2. 8. 시공간 구성 (1점)
MMSE 검사에서는 오래된 Bender-Gestalt 검사에서 파생된 문항으로, 두 개의 오각형 그림을 복사하도록 하는 질문이 있다.[5] 한국어판 MMSE에서는 겹쳐진 오각형을 그리도록 한다.3. 해석
MMSE 총점은 30점 만점이며, 점수가 낮을수록 인지 기능 손상이 심각함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24점 이상은 정상, 19-23점은 경도 인지 장애, 10-18점은 중등도 인지 장애, 9점 이하는 중증 인지 장애로 간주된다.[23] 그러나 MMSE 점수는 학력 및 연령에 따라 보정해야 할 수 있다.[23] 30점 만점을 받아도 치매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24]
낮은 점수는 치매와 관련이 있을 수 있지만, 다른 정신 질환이나 신체적 문제로 인해 MMSE 검사 결과가 비정상적으로 나올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환자가 지시 사항을 제대로 듣거나 읽을 수 없는 경우, 또는 쓰기 및 그리기 능력에 영향을 주는 운동 결핍이 있는 경우 정확한 검사 결과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
MMSE의 이점을 극대화하기 위해 Tombaugh와 McIntyre(1992)는 다음과 같은 사항을 권장했다.[24]
- MMSE는 인지 손상 선별 도구 또는 추가 평가가 필요한 낮은 점수를 나타내는 진단 보조 도구로 사용해야 한다. 치매 진단의 유일한 기준으로 사용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치매를 구별하는 데 사용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MMSE 점수는 인지 손상의 심각도를 분류하거나 치매 환자의 변화를 기록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 인지 손상의 심각도를 분류하기 위해 다음 네 가지 컷오프 수준을 사용해야 한다: 인지 손상 없음 24–30; 경미한 인지 손상 19–23; 중등도 인지 손상 10–18; 심각한 인지 손상 ≤9.
- MMSE는 환자가 최소한 초등학교 8학년을 졸업하고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하지 않는 한 임상적으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 낮은 교육 수준은 정상적인 사람을 인지 손상으로 오인할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 연쇄 7 빼기와 WORLD는 동일한 항목으로 간주해서는 안 되며, 두 항목을 모두 관리하고 더 높은 점수를 사용해야 한다.
- 등록 및 회상을 위해 "사과", "페니", "테이블"이라는 단어를 사용해야 한다.
- "어느 군에 사십니까?" 및 "여기는 어디입니까?"라는 질문은 수정해야 한다. 검사 장소의 군 대신 환자가 거주하는 군의 이름을 묻고, 검사가 진행되는 층의 이름 대신 개인이 거주하는 거리의 이름을 물어야 한다.
MMSE는 다른 유형의 치매를 구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알츠하이머병 환자는 레비 소체 치매, 혈관성 치매 또는 파킨슨병 치매 환자에 비해 시간과 장소에 대한 지남력과 기억 회상에서 점수가 현저히 낮을 수 있다.[25][26][27]
4. 저작권 문제
MMSE는 1975년 마셜 F. 폴스타인, 수잔 폴스타인, 폴 R. 맥휴가 작성한 논문의 부록으로 처음 출판되었으며,[5] 현재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PAR)에서 저작권을 관리하고 있다.[30] MMSE의 저작권은 세 저자에게 있었으며, 이후 미니멘탈에 양도되었다가 2001년 PAR과 독점 계약을 체결하여 PAR에게 MMSE에 대한 모든 지적 재산권을 출판, 라이선스, 관리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부여했다.[30]
PAR은 공식 버전은 저작권이 있으며, PAR을 통해서만 주문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31][32] 일부 법률 전문가는 PAR의 저작권 주장이 약하다고 주장한다.[33] MMSE에 대한 저작권 시행은 "스텔스" 또는 "잠수함 특허" 특허 현상에 비유되기도 한다.[31]
MMSE의 상용화 및 저작권 강화로 인해, 일부 연구자들은 저작권 문제에서 자유로운 대체 인지 기능 검사 도구를 개발하기도 한다.[34] PAR은 MMSE와 관련된 저작권 문제를 피하기 위해 설계된 대체 진단 검사인 "스위트 16"에 대해서도 저작권을 주장하며, 이 검사가 인터넷에서 삭제되도록 강요했다.[35]
5. 판본
2010년, PAR는 MMSE의 두 번째 개정판(MMSE-2)을 출시했다.[36] MMSE-2는 프랑스어, 독일어, 네덜란드어, 미국 스페인어, 라틴 아메리카 스페인어, 유럽 스페인어, 힌디어, 러시아어, 이탈리아어, 중국어 간체 등 10개의 외국어로 번역되었다.[36]
참조
[1]
논문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for the early detection of dementia in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null
2021-07
[2]
논문
An Examin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nd the Standardize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3]
논문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4]
논문
Screening for cognitive impairment in older general hospital patients: comparison of the six-item cognitive test with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5]
논문
"Mini-mental status".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6]
논문
The Mini Mental Status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7]
논문
The Usefulness of the Clinical Tests of the Sensorium
[8]
논문
Intellectual Impairment in Head Injuries
[9]
논문
A Standardized Memory Scale for Clinical Use
[10]
논문
The Sever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 New Neuropsychologic Instrument for the Bedside Assessment of Severely Impaired with Alzheimer's Disease
[11]
논문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12]
논문
Evaluation of a mental test score for assessment of mental impairment in the elderly
[13]
논문
The Geriatric Mental State (GMS) used in the community: replication studies of the computerized diagnosis AGECAT
https://www.cambridg[...]
2018-02
[14]
웹사이트
CoPs
http://www.lucid-res[...]
[15]
웹사이트
Mental Attributes Profiling System
http://www.futurewor[...]
[16]
웹사이트
British Columbia Ministry of Health Standard MMSE (PDF)
https://www2.gov.bc.[...]
[17]
논문
Clinical evaluation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 with culturally Deaf senior citizens
2009-12
[18]
논문
The MMSE orientation for time domain is a strong predictor of subsequent cognitive decline in the elderly
2009-12
[19]
논문
Item and scale differential functioning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 assessed using the Differential Item and Test Functioning (DFIT) Framework
2006-11
[20]
웹사이트
MMSE
http://www.utmb.edu/[...]
2009-12-10
[21]
논문
Serial sevens versus world backwards: a comparison of the two measures of attention from the MMSE
[22]
논문
Evaluation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s internal consistency in a community-based sample of Mexican-American and European-American elders: results from the San Antonio Longitudinal Study of Aging
2004-05
[23]
논문
Population-based norms for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by age and educational level
1993-05
[24]
논문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 for the early detection of dementia in peopl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MCI)
2021-07-27
[25]
논문
Practical suggestions on how to differentiate dementia with Lewy bodies from Alzheimer's disease with common cognitive tests.
2009-12
[26]
논문
Errors produced on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nd neuropsychological test performance in Alzheimer's disease, ischemic vascular dementia, and Parkinson's disease.
2002-Summer
[27]
논문
The Mini-Mental Status exam may help in the differentiation of dementia with Lewy bodies and Alzheimer's disease.
2002-06
[28]
웹사이트
History of Elsevier
http://www.elsevier.[...]
Elsevier
2010-10-29
[29]
서적
Mini-mental status : a practical method for grading the cognitive state of patients for the clinician
2000-06-08
[30]
웹사이트
U.S. Copyright Office record #2
http://cocatalog.loc[...]
[31]
논문
Cognition, copyright, and the classroom
[32]
웹사이트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Inc.
http://www.minimenta[...]
2006-06-22
[33]
웹사이트
How Copyright Is Like Cognitive Impairment
http://laboratorium.[...]
[34]
논문
Does this patient have dementia?
2007-06
[35]
논문
Copyright and Open Access at the Bedside
2011-12
[36]
웹사이트
MMSE-2 home page
http://www4.parinc.c[...]
2010-10-29
[37]
Youtube
중앙치매센터-치매선별용 간이정신상태검사(MMSE DS)
https://www.youtube.[...]
[38]
논문
An Examination of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nd the Standardized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Implications for Clinical Practice
[39]
논문
The mini-mental Status Examination: A comprehensive Review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